
1. Fielddata란?Elasticsearch에서 text 타입의 필드는 기본적으로 정렬(Sort)이나 집계(Aggregation)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이를 가능하게 하려면 Fielddata 기능을 활성화해야 합니다.Fielddata의 역할text 필드에서 정렬 및 집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데이터 구조를 변환대용량 데이터에서도 빠른 검색 및 분석 가능Fielddata의 단점메모리 사용량 증가 : Heap 영역에 데이터를 적재하므로 JVM 메모리 부담이 커짐성능 저하 가능성 :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할 경우 OutOfMemory(OOM) 발생 가능 2. Elasticsearch 8.12에서 Fielddata 해제 이슈Elasticsearch 8.12 버전부터 Fielddata의 자동 해제(Expire)..
※ 해당 문제는 CentOS 7 에서 발생한 문제이고, 다른 버전에서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 될 수 있으며 아래 명령어는 CentOS 7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 현상 개발자로부터 Ansible을 통해 여러 서버에 작업을 하는데, 하나의 서버에서만 ssh 연결이 timeout이 발생하며 작동되지 않는다고 제보 받음 · 문제 확인 Ansible 서버에서 직접 ssh 로 접근 했을 때 오랜 시간의 지연이 발생했고 접근 후 su 명령어 또한 지연이 발생했다. 일단 Ansible 문제는 아니라고 판단을 했고 서버 리소스를 확인 했을 때 자원은 충분했다. 서비스 중인 서버이므로 부하가 가지 않을 정도로 CPU, 메모리, 디스크 등 성능 테스트를 했을 때 문제가 없었으며 물리적인 소모품 또한 정상이였다. 그렇다면 ..
■ 개요 NFS(Network File System)는 Linux 간에 많이 사용되는 네트워크 파일 공유 시스템이다.하지만, Windows와 Linux 같은 경우 NFS 파일 시스템 공유를 것을 많이 볼 수 없다.왜냐하면 NFS를 사용하지 않고 Sabma를 많이 이용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Samba와 NFS 차이는 무엇일까 ?NFS 같은 경우 다른 머신에 있는 파티션을 마치 자신의 로컬 영역인 것처럼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기술이다.하지만, 로컬 영역인것 처럼 사용하기 위해 접근할 때 딱히 보안상으로 크게 좋지는 않다.실제로 공유하는 머신인 Linux에서도 별 다른 설정이 없다. 반면 Samba는 인증 방식을 통해 접근이 가능하다.실제 설정하는 부분에서도 여러가지 설정을 할 수 있다. 두 가지 서비스마다 ..
에러 : configure: error: Can't find or link to the hdf5 library. Use --disable-netcdf-4, or see config.log for errors. 해결 방법 : Netcdf Configure 시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이 경우 hdf5 라이브러리를 찾지 못하는 경우다. export CPPFLAGS=-I[HDF5 Include 경로]export LDFLAGS=-L[HDF5 Lib 경로] 위와 같이 설정해주면 된다.아직도 이해가 잘 안된다면 hdf5 경로가 있다고 치자./usr/local/hdf5/include와 /usr/local/hdf5/lib 있다고 가정 할 경우 export CPPFLAGS=-I/usr/local/hdf5/include..
안녕하세요. 오랫만에 리눅스 관련하여 글 작성합니다.요즘은 Web 관련 공부를 하고 있어서 PHP 모듈 중 하나인 Zend Optimizer 라는 모듈에 대해 포스팅합니다. Zend Potimizer라는 것은 php 파일을 컴파일 및 인코딩하여 php 응용 프로그램 실행을 향상시키는 툴 입니다. 또한 Web 종사자분들이면 대부분이 아시겠지만, PHP 5.3 이하 버전에서는 Zend Optimizer 라는 것을 썼었고그 후에는 Zend Guard Loader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아래 내용을 참고해주세요. ### 버전별 Zend Guard Loader & Zend Optimizer Zend Optimizer (Runtime for PHP 5.2 and earlier) - 64 bit : 3.3.9Zend..
리눅스를 사용하시다보면, 부팅 시 Error Check를 하게 되는데 이 부분에서 제대로 넘어가지 않을 경우 OS로 정상적인 부팅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 / 포인터가 아닌 다른 파티션 일 경우 CLI 모드에서 곧바로 패스워드를 입력 후 파일시스템 체크를 하면 되지만, / 포인터 일 경우 Rescue로 부팅하여 해결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따릅니다. 왜 Rescue로 부팅을 해야하나면, 파일시스템 체크를 하기 위해서 해당 파티션을 Umount 시켜야합니다. 하지만, Rescue이 아닌 일반적으로 부팅하면 / 포인터가 마운트가 되어있고 Umount가 불가능 합니다. Rescue 부팅은 System Rescue CD라는 것을 찾아 직접 CD로 굽고 부팅을 하거나 혹은 OS의 CD를 넣고 설치 화면 직..
안녕하세요. 일반 사용자가 sudo를 사용할 때 권한이 없어 사용하지 못합니다. 우분투에서는 사용이 가능했던걸로 기억했지만.. 센토스에서는 되지 않네요. 이 명령어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따라하시면 됩니다. Ⅰ. 설정 방법 [root@seob ~]# tail /etc/passwdhaldaemon:x:68:68:HAL daemon:/:/sbin/nologingdm:x:42:42::/var/lib/gdm:/sbin/nologinntp:x:38:38::/etc/ntp:/sbin/nologinapache:x:48:48:Apache:/var/www:/sbin/nologinmysql:x:27:27:MySQL Server:/var/lib/mysql:/bin/bashpulse:x:497:494:Puls..
리눅스상에서의 history. 많이들 이용하시나요 ? end user가 사용하다가 갑자기 잘못 되었을 때. 해킹을 당했을 때. 등 많이 쓰입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history은 기록은 시간을 볼 수가 없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history로 분석할 때 매우 힘들었죠. 하지만.. 이제 쉽게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root@seob ~]# history | tail 992 ls 993 cd $WINE 994 ls 995 ln -s wine64 wine 996 ls 997 cd / 998 ls 999 su - 1000 history 1001 history | tail 기존의 history 입니다. 그냥 순번대로 명령어만 보입니다. 시간 기록을 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해주세요. [root@seob ~]# ..
이번에는 crond 데몬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심화가 아닌 기초적인 설명만 하겠습니다. crond 데몬은 아주 유용하게 쓰입니다. 어떻게 쓰이냐에 따라 천지차별이죠. 저 같은 경우는 시간을 동기화 시키는데에 쓰이고 가끔 백업에 사용되기도 합니다. 이번에 제가 설명드리고하자는건 백업에 대한 설명으로 드리겠습니다. ■ Crond 데몬 활용하기 백업하기 위한 폴더와 파일을 생성하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인 폴더에서 백업을 하려고 했는데 용량이 여의치 않아서 간단한 폴더를 생성하겠습니다. [root@seob /]# mkdir seob [root@seob /]# cd seob[root@seob seob]# touch min.txt[root@seob seob]# echo "Hello. Min" >> min.txt ..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vi은 행 번호가 보이지 않습니다. 하지만 블로그 혹은 강의 등으로 따라할 때 행 번호가 있으면 참 변하죠. ##### 임시적 행 번호 표시 ##### vi 파일명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 Shift + ; ] + set nu 를 입력 후 [ Enter Key ]를 누르면 행 번호가 보입니다. 하지만 매번 vi 할 때마다 적용해주셔야 합니다. ##### 해당 계정에만 영구적 set nu 적용 ##### [root@seob ~]# cat ~/.vimrcset nu 해당 계정에서의 .vimrc를 열어 다음과 같이 넣어주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이 파일이 없을 경우 생성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파일을 생성 후 su - 계정명으로 들어가셔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root@seob ~..